-
[재활]전방십자인대.ACL.운동부상.십자인대 파열.재건술interest/healthy 2018. 10. 4. 17:18
전방십자인대 (ACL)
(무릎)
전방십자인대 혹은 ACL는 주위에서 흔히 들어 보셨을 겁니다.
가장 흔한 무릎 부상중 하나인 전방십자인대 파열입니다.
특히 축구,농구,태권도 와 같은 격한 움직임이나 하체를 주로 사용해야하는
운동을 하는 선수 혹은 스포츠를 즐기는 사회인이라면
한번쯤 다치거나 부상의 위험이 있습니다.
과거 운동을 전공했던 저 역시도 전방십자인대 파열로 인해 재건술을 시행했었습니다.
십자인대란?
양쪽 무릎관절 내에 있으며, 십자형 인대는 전방(전방십자인대)과 후방(후방십자인대)에 "X"형태로 서로 교차하는 인대.
십자인대는 무릎의 앞 뒤 움직임을 제어합니다.
전방 십자인대는 무릎 중앙에서 대각선으로 움직입니다. 그것은 무릎에 회전 안정성을 제공 할 뿐만 아니라 대퇴골 앞에서 미끄러지는
경골을 방지합니다.
전 십자인대의 모든 부상 중 약 절반이 관절 연골, 반월상연골 또는 다른 인대와 같은 무릎의 다른 구조물에 대한 손상과 함께 발생합니다.
부상을 입은 인대는 "염좌"로 간주되며 심각도에 따라 등급이 매겨집니다.
Grade 1 는 약간 손상된 정도며, 약간 늘어졌지만 여전히 무릎관절의 안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Grade 2는 인대가 느슨해지는 지점까지 인대를 잡아 당깁니다. 이것은 종종 인대의 부분파열 이라고도 합니다.
Grade3는 가장 일반적인 십자인대의 완전 파열이며, 무릎관절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반드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전방십자인대 부상은 Grade3과 같이 거의 완전한 파열입니다.
원인
· 빠른 방향 전환
· 달리기 중 갑작스런 속도 저하
· 점프동작 중 잘못 착지
· 축구 중 태클과 같은 직접 충돌 등
몇몇 연구에 따르면 여성 운동 선수가 남성 운동 선수보다 전방십자인대의 부상률이 높다고 합니다.
이유는 신체적 조절,근력 및 신경근 조절의 차이와 골반과 다리,인대 특성에 미치는 에스트로겐의 영향 등이 있다고 합니다.
전방 십자인대 부상을 입으면 폭발음 비슷한 '펑'하는 소리가 들릴 수 있으며
붓기와 고통이 어마합니다. 저 역시도 경험 했던 것들이고요.
걷기조차 힘듭니다. 전방십자인대 부상은 특히 스포츠를 즐기시는 분들이라면
굉장히 조심 또 조심 해야할 부상이구요. 만약 부상을 입었다면 곧바로 정형외과로
가셔서 정밀검사를 받아보셔야 합니다. 완전파열의 경우 십자인대 재건술이 필요하며
이 후, 재활트레이닝은 일상 생활로 돌아오는데 필수적입니다.
굉장히 중요한 부분인데요. 물리치료,도수치료 그외 운동재활 등을 통해 꾸준히 트레이닝을 해주셔야 합니다.
특히 운동선수라면 스포츠에 맞는 기능적인 완벽한 복귀를 목표로 해주셔야 합니다.
다음 십자인대 파열 관련 글에서는 치료법 이어서는 재활트레이닝에 관련하여 적어보겠습니다.
'interest > health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활]십자인대.재건술.운동부상.각도운동.도수치료.초기재활.재활운동 (0) 2018.10.11 댓글